김영선, 존버 씨의 죽음
Date | Tweet |
---|---|
2022-03-06 |
소속감과 애정이 업무 만족도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저에겐 다소 슬픈 결론이군요 |
2022-03-06 |
아까 다른 타래에서 얘기한 것과 비슷한 맥락. 경쟁 게임에 거부감을 가져도 문제 제기를 하거나 게임에서 발을 빼는 건 어렵다. 그건 결국 패배로 읽히기 때문에 우린 점점 더 ‘연극적 행위’를 하게 된다. |
2022-03-06 | |
‘회사를 그만두면 되는 거 아냐’라는 반문도 사실 문제의 책임을 망인 개인에게 두는 논리와 친화적이다. 문제를 스스로 분석하고 처리하고 그 결과에 대한 책임까지 스스로 질 것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의 화법(자기 계발-자기책임, 능력주의, 성과주의의 논리)과 닮았다. 자기책임(self-responsibility)의 논리는 문제 발생의 구조적 이유에 대한 사고를 무디게 하고 문제 원인과 해결을 개인에서 찾도록 유도한다. 자기책임 프레임 안에서 작업장의 구조적 문제는 온데간데없는 것으로 사라지고 만다. |
이직하는 동료 팀원들이 ‘왜 이직 안하세요?’ 물으면 말문이 막힌다. 나는 이 회사 이 서비스에 애정이 있는데 이건 남들이 보기에 정당한 사유는 아닌 걸까. 내가 바보 같은 걸까. 본디 회사란 계속 다니는 게 디폴트 아녔나. 왜 이직으로 주기적인 실력 검증을 받으란 압박이 자꾸 느껴질까. |
2022-03-06 | 무능하지 않음을 증명하기 위해 해야 할 게 자꾸자꾸 쌓여가네 😂 책은 『존버 씨의 죽음』. 오월의봄 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