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치다 타츠루, 하류지향
Date | Tweet |
---|---|
2022-02-27 |
더 불쾌하고 피로한 사람이 더 발언권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 |
2022-03-01 | 다 읽었다. 스승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건 최신작인 『사랑의 현상학』과도 일맥상통 하는듯. 이미 이 책 쓰실 때부터 레비나스를 좋아하셨던걸까. |
2022-03-02 |
지금 사회가 자발적인 내적 동기를 너무 중요시 한다는 거에 공감. “진심으로 즐기고 성장하고 싶어하는” 거에 무게 두는 거 솔직히 지친다. |
2022-03-02 |
이건 왜 배워야 하나요? 하는 질문에 스승이 답을 준들, 아직 배우지 않은 제자는 답을 이해할 수 없다. 자기가 납득하지 못하면 배울 가치가 없다고 여기고 자신을 ‘배움’의 구매자 포지션으로 생각하는 태도는 오히려 독이다. |
2022-03-02 |
|
2022-03-02 |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고 오롯이 자기 힘 자기 돈으로 사는 사람이 ‘자립한 인간’일까? 그건 고립이지 자립이 아니다. 자립은 주변 사람들이 ‘저 이의 언행은 믿음직스럽고 조언과 연대를 구할만하다’ 인정해서 사후에 획득되는 호칭이다. 스스로 ‘나는 자립했다’ 선언하는 건 불가능하다. |
2022-03-02 |
|
2022-03-02 | 일과 배움을 포함한 여러 사회적 관계에서, 내가 소모한 자원과 받은 보상이 ‘등가’인지는 애초에 판단 불가능하다. 그러한 비교는 무시간적인데 나의 자원 소모는 시간을 포함하기 때문. 그리고 사실 ‘등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이 교환을 가능케 하는 인간적 가치의 영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