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사회적 이슈

Date Tweet
2022-02-13 아 이게 불법이야?? 했는데 진짜 불법이네. 실종아동을 경찰에 신고하지 않고 임의로 보호하면 형사 처벌 대상이래요.

2022-02-22

‘이대남’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들은 반페미니즘 성향을 지닌 일부가 20대 남성의 정체성인 것처럼 잘못 대표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출처: 한국일보

오 되게 의미있고 멋진데요. 물론 “이렇게 신상 드러내고 나와도 덜 공격받는 것마저 남성의 권력이다” 도 맞지만, 그래도 용기가 필요한 일이잖아요.

2022-03-02 선택권을 주는 자체가 어떤 함의를 지닐 때가 있다. 가령 멘토가 멘티를 붙들고 ‘나는 A,B,C를 해줄 수 있는데 넌 뭘 원하니 니가 택해!’ 하고 던지는 게 좋은 태도일까? 멘티는 본인에게 뭐가 필요한지 모르기 때문에 멘티고, 멘토는 니즈를 알아차릴 수 있기에 멘토다. 질문을 던져 선택권을 준들 선택에 대한 책임만 떠넘겼을 뿐 이걸 갖고 멘티의 의지를 존중했다 보긴 힘들다.

웹툰의 댓글창도 비슷하다고 느낀다. 당신은 작품을 읽었으니 작품에 대해 평할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님 의지를 존중합니다 하고 칸을 하나 열어준다. 아주 좋게 보면 교류의 장이고 커뮤니티다.

하지만 어떨 땐, 고작 이 작품을 읽었다는 이유만으로 ‘평가’를 내릴 수 있다는 사고를 심어주지 말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옵션 자체가 toxic 했다고.

2022-03-11 본가에 내려왔다. 정치 얘기는 전혀 하고 싶지 않았지만 묻는데 대답을 안할 수도 없고, 덕분에 내 속은 이래저래 난도질 당해 쓰리다. 2030 남성의 여성혐오, 경상도의 정치적 편향, 그런 건 모두 큰 틀에서나 유효하지 개인의 성향 앞에선 무의미하다. 우리 집 제일 가는 보수는 엄마다.

엄마의 보수성은 깊이가 아득하다. 엄마는 여자가 사회 진출을 하는 것 자체에 부정적이다. “남자들이 자기 아내를 더 살갑게만 대했어도 여자들이 사회 나갈 생각을 안했을텐데 너무 못되게 굴어서 여자들이 바깥 생활을 한다. 사실 애는 엄마가 돌보는 게 맞는데…” 같은 말을 한다.

오늘은 페미니스트가 뭐냐고 묻길래 여성 인권 신장을 목표로 하는 사람이라 답했다. 그럼 너는 페미니스트냐 묻길래 그렇다고 말했다. 엄마는 “어우 난 내 딸이 그런 -니스트 붙는 거 하는 거 싫어. 남자들이 아무 뜻없이 한 말 갖고 시끄럽게 따지고 드는 애들 같잖아.” 하셨다.

나는 “응 엄마 정확히 이해했네. 그거 맞아. 엄마 딸은 따지고 들 거야.” 를 반복하다가, 엄마의 도리도리 싫어싫어를 끝까지 이기지 못하고 “너무 안 튀게 내 단도리는 잘할게.” 로 마무리 지었다. 나는 그 대화가 눈물 나게 외롭고 모욕적이라 느꼈다.

아. 아까는 『금쪽같은 내새끼』 방송을 보며 ‘우리도 만약 저런데 나가서 오은영 박사한테 솔루션 받아서 서로에게 칭찬해주기 같은 미션 떨어졌으면 너 엄마한테 뭐라고 칭찬해 줄래’ 를 물으셨다. 나는 엄마가 예나 지금이나 참 한결같이 강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2022-03-12

남학생들은 페미니즘을 지지하는 것 같은 여자애들이 누구인지 늘 궁금해했다. 끊임없이 수군거렸고 낙인을 찍었다. 나의 경우 1학년 국어 시간에 성차별과 페미니즘을 주제로 글을 썼고 그 사실을 우연히 알아낸 남학생이 ‘걔도 그런 애다’ 식의 소문을 퍼뜨렸던 기억이 난다

출처: 어느 과학영재고 여학생의 증언

한숨에 다 읽었다. 많이 잊고 살았던 나의 과고 시절까지 떠올리게 하는 생생한 글이다. 폐쇄적인 남초 환경이 여학생들 멘탈을 얼마나 사르르 갉아먹는지 안 겪어본 사람은 모른다. ‘딱히 차별받는 건 없잖아’ 라는 말은 얼마나 무심하고 납작하고 어이가 없는지…

페미니즘 리부트 이전이라 글쓴이처럼 페미 사상 검증으로 고생하진 않았지만, 페미니즘은 결국 휘두르는 무기의 이름일뿐 뭔갈 휘두른다는 건 똑같았다. 끊임없이 여학생들의 평판에 말이 붙고, “요즘 너 이런 소문 돌던데 처신 잘해” 를 대단히 선심 쓰듯 말하던 분위기.

그리고 그와중에 압도적인 성취를 보이는 여학생이 있어도 절대로 압도적이라 인정하지 않고 되려 투명인간 취급하던 분위기. 아 유리천장이 별 거냐 젠장 ㅠㅠ 난 아마 영원히 이 때 이 기억에 대해 얘기하고 살 거 같다. 이건 저주야 저주. 나의 일부분은 평생 거기 머물러 있는 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