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틀린 도티, 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
Date | Tweet |
---|---|
2021-01-09 | 『원본 없는 판타지』 드디어 끝내고 『좋은 시체가 되고 싶어』를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진짜 너무 재밌다.. 머리 끙끙 싸매는 논픽션 읽다가 소재 자체가 재밌는 책을 읽으니 아주 기부니 조아요 |
2021-01-09 | 토라자에서는 죽음을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에 넘을 수 없는 견고한 경계가 아니라 넘나들 수 있는 경계로 보고, 서양 의학 기준으론 사망한 상태여도 토라자의 전통에 따르면 ‘숨이 멈췄을 뿐 죽은 게 아니기’ 때문에 보존처리만 하고 집에 둔다고 합니다. 몇 개월에서 길면 몇 년까지도. |
2021-01-09 |
|
2021-01-09 | 산 사람과 (서양 의학 기준으로) 죽은 사람 사이의 확고한 경계선을 마구 헝클어뜨리는 얘기는 언제 읽어도 재밌다. 뭘까 이 기묘한 해방감… |
2021-01-09 | 어제까지만 해도 내 옆에 있었던 사람이 죽었을 때, 아무 관련없는 제3자가 ‘이제 이 사람은 사망했습니다’ 를 선고하고 아무도 못보는 곳에서 후처리를 하는 거 사실 좀 폭력적인 거 같아. 스위치 on/off 하듯이 받아들여지는 일은 아닐 텐데. 너저분한 중간과정도 가감없이 보여지면 좋겠어. |
2021-01-09 |
|
2021-01-14 |
|
2021-01-14 | “가을 풍경!” 하고 외치니까 불상 색 촤라란 하고 바뀌는 거 너무 웃기다 무협소설에서 초식 쓰는 거 같고 막 이렇게 스마트하고 유쾌하고 간지나는 납골당이라니; |
2021-01-14 |
|
2021-01-14 | 유가족이 시신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라스텔 (라스트 + 호텔) 에 대한 설명. 저자가 이 시설을 구경하는 내내 거의 박수홍의 러브하우스 수준으로 들떠있어서 독자인 나도 자꾸 두근두근 하게 된다 이게 이렇게 두근댈 일인가 |
2021-01-15 | 시신과 몇 년간 같이 살기도 한다는 토라자에 대해선 그래 그럴 수도 있지 하고 받아들였는데 두개골을 집에 모셔두고 숭배하면서 이게 신과 신도를 연결해주는 매개라서 집도 지켜주고 질문에 대답도 해준다고 믿는 냐티타 문화에서 약간 벙쪘다 선입견 갖고 보면 안되는데 너무 크툴루 소재 느낌 |
2021-01-15 |
|
2021-01-15 |
|
2021-01-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