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프 코스터의 재미 이론
-
게임은 위험을 최소화하고 좋은 선택을 하도록 가르친다. 즉 게임의 운명은 점점 재미있어지는 것이 아니라 점점 지루해지는 것이다.
-
역사적으로 볼 때, 모든 경쟁 방식의 게임은 이 게임을 통해 학습이 필요한 사람들을 오히려 밀어내고 있다. 이 사람들은 경쟁을 감당할 능력이 없으므로 첫번째 대결에서 탈락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기술 숙달 문제의 본질이다. 또한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기술을 요하지 않는 게임을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 게임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자신의 두뇌를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
우리가 기억하는 예술은 우리에게 새로운 시야를 열어준 것들이었으며, 당대에 인기를 구사했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대개 역사적 우연이었다. 셰익스피어는 유명한 극작가였으나 200년 정도는 잊혀졌다.
-
오늘날 매체를 통해 쏟아지는 막대한 양의 콘텐츠는 단지 기분을 좋게 하며, 확실하며, 누에고치처럼 현실로부터 보호해주는 느낌을 주는 것만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는 이미 좋아하는 음악, 이미 알고있는 교훈, 그리고 예측한대로 행동하는 캐릭터에게 끌린다.
-
극단적으로 비관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매체는 무책임하다. 세상이 변화할 때, 이러한 매체에 길들여진 사람들은 적응할 도구를 갖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창작자의 소명은 이런 사람들에게 적응의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세상이 바뀌고 문화의 격랑이 휩쓸릴 때 안락의자에 늘어저서 만족하고 있던 사람들이 변화의 흐름에 동참해 인류 발전의 행진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